친환경학교급식 경기도운동본부(상임대표 구희현, 이하 경기도운동본부)는 6일 보도자료를 내고, “경기도교육청이 2025년 학교급식 발전 유공 분야 표창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임태희 교육감의 공약사업인 ‘자율선택급식’ 관련 수상이 726개 표창 중 573개로 약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이는 특정 정책에 대한 과도한 집중으로, 교육적 성과보다는 정치적 목적이 우선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경기도운동본부는 우선 ‘표창 기준의 편향성’을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이 각급 학교에 배포한 공문에 따르면, 자율선택급식 운영 학교에 대해 ‘정책 추진 실적’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표창 대상이 선정되었으며, 급식의 질적 향상이나 교육적 효과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배제되었다”라며 “특히, 자율선택급식 외의 다양한 급식 개선 노력—예컨대 지역 식재료 활용, 식생활 교육 강화, 친환경 급식 운영 등—은 표창 대상에서 소외된 것으로 확인된다”라고 말했다.

경기도운동본부는 또한 ‘정책 편중의 정치적 해석’ 문제를 지적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2026년 경기도교육감 선거에 재도전을 앞두고 있으며, 이번 표창은 자율선택급식 정책의 성과를 과도하게 부각시켜 자신의 공약 이행 실적을 홍보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라고 말했다.

경기도운동본부는 이 ‘자율선택급식의 교육적 문제점’을 지적했다. “자율선택급식은 학생의 선택권을 존중한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편식 조장 ▲음식물 쓰레기 증가 ▲간식류 및 소스류 중심의 선택 급식 등 교육적으로 부정적인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경기도운동본부는 “경기도교육청은 표창 선정 기준의 투명성과 형평성을 확보하고, 급식 정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균형 잡힌 평가를 통해 진정한 유공자를 발굴해야 한다”라며 “특정 공약의 실적을 과도하게 포장하는 방식은 교육행정의 신뢰를 저해할 수 있으며, 학생 중심의 급식 정책으로 회귀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뉴스Q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