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아줌마의 평양 이야기’ 강연-5

‘평양 아줌마의 평양 이야기’ 강연이 지난 1월 17일 저녁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6.15수원본부, 민족문제연구소 수원지부, 통일나눔이 공동 주최했다. 북 이탈주민으로 남에 오자마자 고향으로 송환을 요구 중인 평양주민 김련희 씨가 강사로 나섰다. 김 씨는 북에서 42년 동안 살았고 2011년부터 6년째 남에서 살고 있다. 북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남 사람들의 북에 대한 왜곡된 인식도 바로잡아 주었다. 일단 이야기가 정말 재밌고 한편으로 신기하기까지 했다. 단 한 편의 기사로 작성하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강연 내용을 정리해 몇 차례에 걸쳐 연재하고자 한다. 하나의 민족, 한 형제인 북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편집자주]

▲ 강연을 하고 있는 ‘평양 아줌마’ 김련희 씨. ⓒ뉴스Q

‘평양 아줌마’ 김련희 씨는 “남쪽 분들도 북에 대해 모르지만 북쪽 사람들도 같아요”라고 말했다. 그가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처음 남쪽에 왔을 때 너무 몰랐어요. 흔히 남쪽 분들은 북을 생각할 때 나쁘다고 생각해요. 자기가 태어나서 살아왔던 생활을 토대로 지켜볼 거잖아요. 자기들하고 똑같겠지? 하지만 북쪽 사람들도 자기네 식으로 남쪽을 바라볼 거잖아요. 저도 42년 동안 살아왔던 생활풍습대로 남쪽을 대하려고 했어요.”

그래서 김 씨는 “엄청 망신했던 적도 많았고 곤란했던 적도 있었어요”라며, 피부과에 갔던 이야기를 소개했다.

“제일 처음에 와서 망신했던 게, 제가 좀 못생겼잖아요? 어떤 민변 변호사님이 식사 자리에서 뭐라고 하냐면 ‘남남북녀라고 해서 북에는 다 미인만 있는 줄 알았는데 어떻게 김련희 씨 같은 여자도 살고 있었네요’라고 하더라구요. 그 말을 들으면서 ‘난 정말 못생겼어’라고 생각했어요. 여자니까 예뻐지고 싶잖아요? 그래서 피부과를 갔어요. 북쪽에서 피부과는 상처를 치료하는 곳이에요. 예쁘게 해주는 곳이 피부과가 아니거든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남쪽 피부과는 예쁘게 곱게 해준다고 하더라고요. ‘나도 고와지고 싶어.’ 그래서 피부과에 갔어요. 선생님하고 상담하려고 과장실에 들어갔어요. 제가 ‘얼굴에 기미가 많은데 뽑아줄 수 있어요?’라고 물었지요. 그러니까 250만원이 든다는 거예요. 깜짝 놀랐어요. 무서워서 ‘죄송합니다’하고 나왔지요. 그런데 카운터 간호사가 돈을 내라는 거예요. 제가 ‘약도 안 먹고 주사도 안 맞았는데 무슨 돈을 내냐?’ 그랬지요. 간호사는 ‘지금 과장 선생님하고 상담했잖아요?’ 되묻고요. 제가 속으로 생각한 게 ‘아니, 병원은 환자를 치료하는 게 병원인데 어떻게 의사 선생님과 말하는 값을 받는 게 병원이야?’ 결국 ‘참 죄송하다’고 하고선 돈을 내고 왔던 기억이 나요.”

김 씨는 지하철역에서 겪었던 노숙자 이야기도 들려주었다.

“지하철역 안에 많은 어르신들이, 60대 정도 분들 4명 정도가 쭈그리고 앉아서, 2명은 술 마시고 있고 2명은 누워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술 먹고 취해서 집에도 못가고 저게 뭐야?’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집에서도 부인들이 얼마나 걱정하겠어요. ‘저 사람들이 왜 집에도 못가고 있나요?’ 하니까 노숙자라고 하더라구요. 노숙자가 뭔지도 몰랐지요. 집이 없어 밖에 나와 있는 사람을 노숙자라고 한다나요. 정말 이해가 안됐습니다. 저 사람 부모도 아내도 자식도 있을 거잖아요. 분명히 제 남편이 밖에 나와 저렇게 산다는 걸 모를까요? 이해가 안 됐어요.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집 없어서 밖에서 산다? 너무 이해가 안 됐던 거예요.”

그나마 노숙자 이야기는 김 씨에게 약한 이야기였다. 더 충격적인 이야기도 있었다.

“‘사람이 태어나면 자연히 집이 생기는 거 아냐?’ 그랬댔는데, 그나마도 또 ‘평생 내 집 마련’ 이런 말이 있더라고요. 집이라는 거는 국가가 집을 주는 거고, ‘근데 왜 내 집을 내가 마련해야 되지? 그것도 평생 동안 해야 되나?’ 오랫동안 이해가 안 됐어요. 지금은 이해 잘하고 있어요.”

 

저작권자 © 뉴스Q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