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과 확대를 위한 토론회’ 개최

▲ 대학생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과 확대를 위한 토론회. ⓒ뉴스Q 장명구 기자

‘대학생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과 확대를 위한 토론회’가 29일 오후 경기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경기도, 경기도의회,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민주노총 경기도본부에서 공동주최했다.

노중기 한신대 교수가 ‘대학에서 바라보는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했다.

노 교수는 자신이 한신대에서 개설해 진행하고 있는 ‘노동의 의미’ 강의 사례를 소개했다. 3학점 1학기 교양선택 과목으로, 2015년부터 지금까지 5년 동안 개설했다. 수강생 정원은 90명으로 매년 90명 가까운 학생들이 수강했다.

노 교수는 ▲수강생 반응이 의외로 좋음 ▲초·중등 과정에서 초보적 노동교육 필요 ▲소규모 토론강의 또는 심화강의 필요 ▲현장형 특강 또는 전문가강의 필요 ▲강의법 평가세미나 또는 토론회 필요 등을 강의평가로 제시했다.

노 교수는 ‘대학생 노동인권교육의 의의’에 대해 사회적 측면에서 “반(反)노동문화, 비정규직 천지의 헬조선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계발할 수 있다”며 “나아가 장기적으로 노동존중사회를 만드는 주체적 동력을 형성하는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

노 교수는 ‘대학생 노동인권교육의 제도적 발전 방안’으로 ▲경기도 상징사업인 ‘청년수당’의 의미를 더 확장 ▲경기도 내 대부분 대학으로 강좌 확대 ▲ 교양심화 강좌 등 질적 심화 방안 마련 ▲‘청년기본소득’처럼 경기도 장기 전략적 사업으로 선정 등을 제안했다.

진숙경 경기도 교육연구원 박사는 ‘대학생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경기도의 역할’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했다.

진 박사는 ▲대학생을 비롯한 청년 대상 ‘노동인권교육’ 인프라 확대 ▲대학 정규 교양과목으로 ‘노동인권교육’ 신설 ▲취업 등을 중심에 둔 대학은 과목 이수 필수화 필요 ▲실질적인 노동권 보호 방안과 결합 ▲노동인권교육 확산을 위한 노사민정 간 공감대 형성 ▲사용주 교육사업에 대한 사업계획 필요 등을 제안했다.

토론이 이어졌다.

이상무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노학특위원장은 ▲각 대학에서 ‘노동인권교육’에 쉽게 진입할 방안 마련 ▲고정예산 확보 ▲대학 내 모든 단위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저변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순갑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교육국장은 “대학생 노동인권교육 사업 공모에 2개 대학만 응모했다. 대학이라는 집단은 철저하게 보수집단인 것 같다”며 “대학의 재단 이사회 등이 대학생 노동인권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매개체가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노중기 한신대 교수의 ‘노동인권교육’ 강의를 수강한 안도연 학생은 “어릴 때부터 차근차근 한글을 배우듯 노동과 노동인권에 대해 배워나가는 것이 좋겠지만, 그러지 못 한다면 적어도 대학교에 와서라도 알아야 한다”며 “우리는 모두 노동자가 될 것이고, 노동자는 내 친구와 가족이기에 우리는 배워야 하고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국 경기도 노동권익센터장은 “대학생 노동인권교육 사업의 최종목표는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너희 부모님 직업이 뭐냐?’고 물었을 때 ‘회사원입니다’가 아니라 ‘노동자입니다’라고 답하는 당당한 사회다”라며 “본인 스스로 ‘너 뭐 하고 싶냐?’고 물으면 ‘난 노동자로 살아가고 싶다’고 답하는 분위가가 하루빨리 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박 센터장은 “경기도에 총 89개 대학교가 있다”며 “경기도 차원에서 대학 총장들과 협의해 노동인권교육이 교양필수 과목으로 될 수 있게 후속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양경수 본부장은 인사말에서 “노정 교섭의 성과로 올해는 2대 대학교에서 노동인권교육 강좌가 개설됐다”며 “올해 시범사업 격으로 진행된 것을 내년에는 20개 대학교 정도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내 89개 대학교 모두에서 노동인권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Q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